커피와 상극인 영양제, 약물 10가지와 권장 섭취방법

커피에 포함된 카페인, 탄닌, 클로로겐산 등의 성분은 일부 영양제와 약물의 흡수를 방해하거나 체내 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철분제, 칼슘제, 마그네슘제, 아연, 비타민 B군, 고혈압약, 수면제, 위장약 등은 커피와 함께 섭취하면 효과가 감소하거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1. 커피와 함께 먹으면 상극인 영양제

① 철분제 (Fe)

커피 속 탄닌 성분이 철분과 결합하여 체내 흡수를 방해합니다. 철분 흡수율이 39~90%까지 감소할 수 있습니다.

▶︎ 권장 섭취 방법

철분제는 공복에 섭취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커피와 최소 1~2시간 간격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 철분 흡수를 돕는 비타민 C(오렌지, 키위, 피망 등)와 함께 섭취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② 칼슘제 (Ca) – 배출 증가

카페인은 신장에서 칼슘 배출을 촉진하여 체내 칼슘 농도를 감소시킵니다. 장기적으로 골다공증, 골밀도 감소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권장 섭취 방법

칼슘제는 우유, 요거트와 함께 복용하면 흡수율이 증가하며, 커피 대신 물과 함께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칼슘과 마그네슘을 함께 복용하면 체내 균형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③ 마그네슘제 (Mg)

커피 속 카페인이 신장에서 마그네슘 배출을 증가시켜 결핍 위험을 높입니다. 마그네슘이 부족하면 근육 경련, 피로, 불면증, 신경과민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권장 섭취 방법

마그네슘은 저녁 시간에 따뜻한 물과 함께 섭취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마그네슘이 풍부한 견과류, 바나나, 녹색 채소를 함께 섭취하면 흡수율이 증가합니다.

④ 비타민 B군 (특히 B1, B6)

비타민 B1(티아민)은 탄닌과 결합하여 체내 흡수가 방해될 수 있습니다. 비타민 B6는 카페인이 간에서 대사되는 속도를 높여 효과 지속 시간이 짧아질 수 있습니다.

▶︎ 권장 섭취 방법

비타민 B군은 아침 식사 후 물과 함께 섭취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⑤ 아연 (Zn)

탄닌과 피트산아연 흡수를 방해하여 체내 이용률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아연이 부족하면 면역력이 저하되고, 피부 트러블, 탈모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권장 섭취 방법

아연은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고기, 달걀, 해산물)과 함께 섭취하면 흡수율이 증가합니다. 커피와 최소 1~2시간 간격을 두고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커피와 상극인 영양제들
커피와 상극인 영양제들

2. 커피와 함께 먹으면 좋지 않은 약물

① 수면제 및 항불안제 (졸피뎀, 디아제팜 등)

커피의 카페인이 신경계를 각성시키므로 수면제, 항불안제의 효과를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졸피뎀, 디아제팜 등은 진정 작용이 있어 커피와 함께 복용하면 약효가 감소하여 불면증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권장 섭취 방법

카페인 섭취를 줄이고, 수면제는 취침 30분~1시간 전에 복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② 고혈압약 (베타차단제, 칼슘채널 차단제 등)

커피는 혈압을 일시적으로 상승시키며, 고혈압약과 함께 복용할 경우 약효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특히, 베타차단제(프로프라놀롤)와 카페인이 상호작용하여 심박수 증가, 불안감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권장 섭취 방법

고혈압약 복용 후 최소 1~2시간 후에 커피를 마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③ 위장약 (제산제, 위산억제제 등)

커피는 위산 분비를 촉진하므로, 위산 억제제(오메프라졸, 에소메프라졸) 등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위염, 위궤양 환자의 경우 커피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권장 섭취 방법

위장약은 공복에 복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커피 대신 물과 함께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④ 항우울제 (MAO 억제제 등) – 부작용 증가

MAO 억제제(페넬진, 트라닐시프로민)와 커피를 함께 복용하면 고혈압, 불안 증상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카페인이 신경계를 자극하여 불면증, 심장 두근거림 등의 부작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권장 섭취 방법

항우울제 복용 후 카페인 섭취를 줄이는 것이 권장됩니다.

⑤ 항생제 (시프로플록사신, 노르플록사신 등)

항생제는 간에서 카페인의 대사를 방해하여 카페인의 작용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불면증, 신경과민, 두근거림 등의 부작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권장 섭취 방법

항생제 복용 중에는 카페인 섭취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3. 커피 섭취 시 주의사항

약물이나 영양제를 복용한 후 최소 1~2시간 간격을 두고 커피를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카페인이 든 음료(커피, 녹차, 에너지 음료 등)는 과다 섭취 시 부작용(불면증, 신경과민, 위산 과다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하루 2~3잔 이내로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 본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건강정보는 단순 정보 전달용 참고 자료로써, 발생되는 문제에
대해선 그 어떠한 보장도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개인적인 증상이나 질병에 대한 정확한 판단은 의사의 상담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