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보조금 정책이 2025년부터 다음과 같은 변화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1. 보조금 지원 금액 조정
• 승용 전기차: 기존 400만 원에서 300만 원으로 100만 원 감소합니다.
• 화물 전기차: 기존 1,100만 원에서 1,000만 원으로 100만 원 감소합니다.
2. 보조금 100% 지원 대상 차량 가격 기준 변경
• 기존에는 출고가 5,500만 원 미만의 차량이 보조금 100% 지원 대상이었으나, 2025년부터는 이 기준이 5,300만 원 미만으로 하향 조정됩니다.
3. 주행 거리 기준 강화
주행 거리에 따른 보조금 지급 기준이 강화될 예정입니다. 예를 들어, 중대형 차량의 경우 1회 충전 시 주행 거리 기준이 기존 400km 이상에서 440km 이상으로 상향 조정됩니다.
4. 추가 보조금 지급 기준 도입
• 배터리 정보 제공 차량: 충전 시 배터리 정보(SOC, SOH, 전압, 전류, 온도 등)를 제공하는 차량에 대해 30만 원의 추가 보조금 지급이 검토 중입니다.
• 배터리 안전성 및 효율성: 국제 차량 진단 규격(OBD) 적용 차량이나 에너지 밀도가 높은 배터리를 사용하는 차량에 대해 추가 보조금이 지급될 예정입니다.
5. 특정 계층에 대한 추가 지원
• 청년층: 19~34세 청년이 생애 첫 차로 전기 승용차를 구매하는 경우, 국비 보조금의 20%를 추가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다자녀 가구: 18세 이하 자녀 수에 따라 추가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자녀 2명은 100만 원, 3명은 200만 원, 4명 이상은 300만 원을 추가로 지원받습니다.
6. 지지자체별 전기차 보조금 확인 방법
지자체별로 추가 보조금을 지급하므로, 거주 지역에 따라 받을 수 있는 총 보조금 액수가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지자체의 보조금 정책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변경 사항으로 인해 전기차 구매 시 실질적인 혜택이 감소하거나, 보조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차종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신다면, 최신 보조금 정책과 지원 기준을 꼼꼼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부터 대한민국의 전기차 보조금 정책은 국고보조금과 함께 지자체별로 추가적인 지원이 제공됩니다. 지자체 보조금은 지역별 예산과 정책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거주 지역에 따라 받을 수 있는 총 보조금 액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이용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는 지자체별 전기차 보조금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사이트에서 ‘구매보조금 지급현황’ 메뉴를 선택한 후, ‘지자체 항목별 보조금’을 클릭하면 각 지역별 보조금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지자체별 공식 웹사이트 확인
각 지자체의 공식 웹사이트나 환경 관련 부서의 공지사항을 통해 최신 보조금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특별시, 경기도, 부산광역시 등의 공식 웹사이트에서 전기차 보조금 관련 공고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7. 주의사항
• 신청 기간
전기차 보조금은 예산이 한정되어 있어 선착순으로 지급됩니다. 따라서, 신청 기간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지원 대상 및 조건
지자체별로 지원 대상, 조건, 지원 금액 등이 다를 수 있으므로, 거주 지역의 보조금 정책을 꼼꼼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보조금 지급 시기
차량 출고 후 보조금이 지급되기까지 일정 기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차량 구매 및 출고 일정을 계획하실 때 이를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신다면, 거주 지역의 지자체 보조금 정책을 상세히 확인하여 최대한의 혜택을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