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급여 와 급여 중 의료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건강보험 급여 항목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병원 방문 전 급여·비급여 여부를 확인하고, 비급여 가격 비교를 통해 불필요한 지출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1. 급여 (건강보험 적용)
1) 개념 및 특징
• 건강보험공단이 진료비의 일정 부분을 부담하여 환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줌
• 치료에 필수적인 의료 서비스가 포함되며,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라 엄격히 관리됨
• 의료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국가가 정한 기준과 가격을 따름
• 환자는 본인부담금(일반적으로 20~50%)만 지불하면 됨
2) 급여 적용 항목 및 사례
급여항목 | 설명 | 본인부담률 |
외래 진료 | 감기, 위염 등 일반 질환 진료 | 30~50% |
검사 | 혈액검사, 소변검사, 엑스레이(X-ray), CT, MRI(일부 허용) | 20~50% |
입원비 | 일반 병실(4인실 이상) 이용료 | 20% |
수술비 | 맹장 수술, 골절 수술, 암 수술 등 필수 수술 | 20% |
약제비 | 보험 적용되는 의약품(고혈압·당뇨약 등) | 30~50% |
예방접종 | 일부 필수 예방접종(BCG, MMR, DTP 등) | 무료 또는 일부 부담 |
2. 비급여 (건강보험 미적용)
1) 개념 및 특징
•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전액 본인 부담
• 의료기관이 가격을 자율적으로 책정하여 병원마다 가격 차이가 발생
• 치료보다는 선택적, 미용적, 편의적 서비스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음
• 고급 의료서비스나 최신 치료법 등이 포함됨
2) 비급여 항목 및 사례
비급여항목 | 설명 | 예상비용 (병원별차이있음) |
도수치료 | 물리치료보다 전문적 치료로, 허리·목 통증 치료 | 회당 5~15만 원 |
미용 성형 | 눈 수술, 코 성형 등 미용 목적 수술 | 100~500만 원 이상 |
임플란트 | 건강보험 적용 나이(65세 이상) 외 환자의 경우 | 개당 100~300만 원 |
건강검진(일부 항목) | 종합검진, PET-CT 등 정밀검사 | 30~150만 원 |
고급병실 이용 | 1인실, 2인실 등 | 하루 10~50만 원 |
라식·라섹 수술 | 시력 교정 수술 | 100~300만 원 |
비급여 MRI/CT | 특정 부위(예: 무릎, 어깨 등)의 MRI 촬영 | 40~100만 원 |

3. 급여와 비급여의 차이점 정리
구분 | 급여(건강보험적용) | 비급여(건강보험미적용) |
비용 부담 | 건강보험에서 일정 부분 지원 | 환자가 100% 부담 |
가격 결정 방식 | 국가가 정한 기준에 따름 | 병원별로 자율 책정 |
적용 대상 | 필수적인 진료 및 치료 | 선택적·미용·편의 목적 |
대표 예시 | 진료, 혈액검사, 수술, 처방약 | 도수치료, 미용 성형, 건강검진(특수 항목) |
✅ 건강보험 적용 여부 확인 방법

• 병원에서 진료 전 비급여 예상 비용 안내 요청
•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 1577-1000)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