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플라스틱 은 크기가 작아 환경과 인체에 쉽게 유입되며, 다양한 방식으로 생태계와 건강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체내에 축적될 경우 독성 물질과 함께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1. 미세플라스틱의 종류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s)란?
미세플라스틱은 크기가 5mm 이하의 작은 플라스틱 입자를 의미합니다. 자연적으로 분해되지 않으며, 환경과 인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1. 1차 미세플라스틱
• 애초부터 작은 크기로 제조된 플라스틱
• 화장품, 치약, 세제, 세안제의 마이크로비즈, 섬유에서 떨어져 나오는 작은 합성 섬유 조각 등이 포함됨
2-2. 2차 미세플라스틱
• 큰 플라스틱 제품이 햇빛, 마찰, 물리적 충격으로 인해 잘게 부서져 생성됨
• 플라스틱 병, 비닐봉지, 폐어망, 타이어 마모 입자 등이 포함됨
2. 미세플라스틱의 발생 원인
• 플라스틱 제품의 분해 과정
• 세탁 시 합성 섬유에서 방출되는 미세 섬유
• 타이어 마모로 인한 미세 입자 발생
• 화장품, 세제, 스크럽 제품 등에 포함된 마이크로비즈
3. 발견 주요 경로
• 음식: 해산물, 소금, 꿀, 쌀, 과일 및 채소 등
• 음료: 수돗물, 생수, 맥주, 음료수 등
• 공기: 대기 중 미세 입자, 실내 먼지 등
• 화장품: 스크럽 제품, 치약, 샴푸 등
4. 환경에 미치는 위험
4-1. 해양 및 수질 오염
• 미세플라스틱은 하천과 바다로 유입되어 해양 생물의 먹이사슬에 포함됩니다.
• 플랑크톤이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면, 이를 먹이로 하는 어류와 해양 포유류까지 영향을 받습니다.
• 미세플라스틱은 환경에서 자연 분해되지 않아 수백 년 동안 축적될 수 있습니다.
4-2. 생태계 교란
• 미세플라스틱을 먹은 해양 생물은 영양 부족, 소화 장애, 생식력 저하 등의 문제를 겪습니다.
• 육상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토양과 공기에 축적되어 식물의 성장과 토양 미생물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미세플라스틱이 포함된 하수 슬러지가 비료로 사용될 경우, 농작물에도 침투할 수 있습니다.
4-3. 대기 오염
• 공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플라스틱 입자는 호흡을 통해 폐로 흡입될 수 있습니다.
• 특히, 타이어 마모에서 발생하는 미세플라스틱은 도심 대기 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5. 인체 건강에 미치는 위험
5-1. 호흡기 문제
• 공기 중의 미세플라스틱 입자는 폐에 축적되어 염증 반응과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미세한 입자는 폐포까지 도달하여 기관지염, 천식, 폐섬유증과 같은 질병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5-2. 체내 흡수 및 독성 물질 유입
• 미세플라스틱은 음식물, 식수, 해산물, 공기 등을 통해 인체로 유입됩니다.
• 특히, 미세플라스틱은 다이옥신, 중금속, 환경호르몬(비스페놀A, 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독성 화합물을 흡착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 이러한 독성 물질이 체내에 유입되면 호르몬 교란, 신경계 손상, 면역력 저하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5-3. 위장 장애 및 소화기 문제
• 미세플라스틱이 체내로 유입될 경우 장내 미생물 균형을 무너뜨려 소화불량, 장 염증, 장 누수 증후군 등의 질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동물 실험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이 장벽을 통과해 혈액으로 이동할 가능성도 확인되었습니다.
5-4. 내분비계 교란 및 생식 건강 위험
• 미세플라스틱에 포함된 환경호르몬(프탈레이트, BPA 등)은 체내 호르몬 시스템을 교란할 수 있습니다.
• 특히, 내분비계에 영향을 미쳐 불임, 조기 폐경, 정자 수 감소, 생식 능력 저하 등의 문제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일부 연구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이 태반에서 발견되었으며, 태아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5-6. 미세플라스틱 노출을 줄이는 방법
1.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고, 친환경 제품 사용
2. 미세플라스틱이 포함된 제품 사용 제한: 마이크로비즈가 포함된 화장품, 치약, 세제 구매 시 성분 확인
3. 수돗물 및 생수 필터링: 활성탄 필터 사용
4. 자연 섬유 의류 사용: 합성섬유 옷 세탁 시 미세섬유 필터 사용
5. 플라스틱 용기 사용 주의: 플라스틱 용기에서 나온 미세 입자가 음식에 유입될 수 있음
6. 타이어 마모 방지: 대중교통 이용, 적절한 타이어 공기압 유지
7. 미세플라스틱을 피하는 방법
미세플라스틱은 우리가 먹고 마시고 숨 쉬는 동안 지속적으로 체내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생활 습관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1.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제한: 비닐봉지 대신 천가방 사용, 플라스틱 컵 대신 유리·스테인리스컵 사용
• 플라스틱 용기 사용 최소화: 플라스틱 대신 유리, 스테인리스, 도자기 그릇 사용
• 뜨거운 음식은 플라스틱에 보관하지 않기: 플라스틱 용기에 뜨거운 음식을 담으면 미세플라스틱과 환경호르몬이 용출될 수 있음
• 타이어 마모 줄이기: 자동차 대신 대중교통 이용, 올바른 타이어 공기압 유지
• 바다와 강에서 플라스틱 쓰레기 줄이기: 해양 쓰레기 배출 줄이기, 플라스틱 분리배출 철저히 하기
• 담배 필터 주의: 담배 필터도 플라스틱 성분 포함 → 흡연 줄이기 및 필터 쓰레기 적절히 처리
7-2. 미세플라스틱이 포함된 제품 피하기
• 화장품 및 세정제 성분 확인
• 마이크로비즈(Polyethylene, Polypropylene, Nylon 등)가 포함된 스크럽 제품, 치약, 샴푸, 세안제, 세제 사용 금지
• 천연 성분 기반의 친환경 제품 선택
• 플라스틱 코팅된 티백 사용 제한: 티백 일부는 플라스틱이 포함되어 있으며, 고온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방출될 수 있음 → 종이 티백 또는 찻잎(루스 티) 사용
7-3. 깨끗한 물과 음식 섭취
• 수돗물 및 생수 필터링: 활성탄 필터(카본 필터) 또는 고급 정수기를 사용하여 미세플라스틱 제거
• 플라스틱 생수병 대신 유리병 사용: 생수병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사례가 많음
• 해산물 섭취 주의: 미세플라스틱 오염 가능성이 높은 해산물(굴, 홍합, 조개류 등) 과다 섭취 자제
• 플라스틱 포장된 가공식품 줄이기: 포장된 가공식품보다는 신선한 재료 사용
7-4.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 노출 줄이기
• 실내 공기 청정 관리: HEPA 필터가 장착된 공기청정기 사용, 환기 자주 하기
• 합성섬유 의류 세탁 시 주의: 합성섬유(폴리에스터, 나일론)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빠져나올 수 있음
• 세탁 시 미세 섬유 필터(세탁망) 사용
• 세탁 횟수 줄이고, 찬물 세탁과 자연 건조 추천